GPT API 응답을 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하기: 실전 사례



GPT API 응답을 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하기: 실전 사례

제가 직접 경험해본 결과로는, GPT API를 활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형식으로 응답을 얻는 것이 얼마나 복잡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여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글은 졸업작품 프로젝트에서의 과정을 중심으로, Chat Completion API와 Fine-Tuning을 사용하여 GPT API의 응답 값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졸업작품 프로젝트에서 마주한 문제

졸업작품 ‘코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두 가지 주요 이슈로 요약할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정해지지 않은 응답 형태로, GPT API에 질문을 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반환되는 응답이 다른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질문을 던져도 맥락 없이 여러 방식으로 나오는 답변은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두 번째 문제는 유효하지 않은 요청에 대한 처리였습니다. 잘못된 코드를 요청해도 GPT는 어떻게든 응답을 하였고, 이는 불필요한 비용을 초래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효율적인 예외 처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상세정보 바로 확인 👈



 

Chat Completion API를 통한 해결 방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Chat Completion API를 활용하는 것이었습니다. Chat Completion API는 GPT와의 대화를 구조적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API로, 문맥을 유지하면서 더 정교한 응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Chat Completion API의 이해

Chat Completion API는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그에 대한 답변을 대화 형식으로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델에게 ‘2020 World Series’와 관련된 문맥을 제공하면, 그 문맥을 바탕으로 질문에 더욱 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게 됩니다.

Chat Completion API를 사용한 예시를 살펴보면:

python
messages = [
{"role": "system", "content": "당신은 코딩 도우미입니다."},
{"role": "user", "content": "Java로 Hello World를 출력하는 방법은?"}
]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스템에 적절한 맥락을 제공함으로써, GPT가 더욱 알맞은 응답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Chat Completion API의 역할

Chat Completion API에서 사용되는 세 가지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System Role: 요청을 처리하는 모델에게 역할을 부여하며, 응답의 형식이나 대화 스타일을 정의합니다.
  • User Role: 사용자가 모델에게 질문이나 정보를 요청하는 역할입니다.
  • Assistant Role: GPT 모델의 응답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역할을 활용하여 대화의 형태와 내용을 더욱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Fine-Tuning을 통한 추가적인 최적화

Chat Completion API는 유연한 대화가 가능하지만, 보다 일관된 응답을 위해 Fine-Tuning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ne-Tuning은 특별한 데이터셋을 모델에게 학습시켜, 특정 응답 형식을 갖도록 만드는 과정입니다.

Fine-Tuning의 과정

Fine-Tuning 에서는 유효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적절한 형식으로 모델에 학습하게 됩니다. 다음은 학습을 위한 데이터 파일의 예시입니다.

json
{"messages": [
{"role": "system", "content": "당신은 Java 변수명 추천 전문가입니다."},
{"role": "user", "content": "자동차"},
{"role": "assistant", "content": "1. car\n2. automobile\n3. vehicle\n4. motorcar\n5. auto\n6. ride\n7. wheels\n8. transport\n9. machine\n10. drive"}
]}

이와 같은 데이터셋을 이용해 Fine-Tuning을 진행하게 되면, 모델은 요청에 대해 일관된 형식으로 응답할 수 있습니다.

Fine-Tuning의 효과

Fine-Tuning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믿을 수 있는 출력 형식을 지니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잘못된 입력에 대해서는 “X”라는 응답을 주도록 학습시키면, 이 역시 예외 처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파인 튜닝의 진행과정

Fine-Tuning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API 호출이 필요합니다.

bash
curl https://api.openai.com/v1/fine_tuning/jobs \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H "Authorization: Bearer ${GPT-API-KEY}" \
-d '{
"training_file": "학습파일ID",
"model": "gpt-3.5-turbo-0613"
}'

이렇게 하면 Fine-Tuning 과정이 시작됩니다. 이후 실제로 학습된 모델을 사용하여 늘 일정한 형태의 응답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파인튜닝의 결과

Fine-Tuning을 통해 얻은 결과는 매우 통일성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변수 추천 요청을 했을 때, 새로운 모델은 항상 일정한 형식을 유지하면서 관련 변수를 제시하였습니다.

요청 GPT 기본 모델 응답 Fine-Tuning 모델 응답
변수명 추천: “자동차” 불규칙한 응답 1. car\n2. auto…
코드 리팩터링 요청 형식이 일정하지 않음 리팩토링된 코드…
유효하지 않은 요청 임의로 응답 “X” 응답

이 외에도 다양한 요청에 대해 핸들링이 용이해졌으며, 같은 패턴으로 다룰 수 있게 됐습니다.

유효하지 않은 요청 처리

Fine-Tuning의 데이터를 통해 오류 처리 시나리오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었습니다. 모델이 요청 코드와 언어가 맞지 않는 경우, 즉각적으로 ‘X’라는 응답을 제공하였고, 서버에서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예외 처리를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사용 비용 및 결론

Fine-Tuning을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비용은 초기 훈련 비용과 사용 비용으로 나뉘며, 이는 공식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저는 GPT API의 응답을 더 예측 가능하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이 경험은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향후 더욱 다양한 요청에 고정된 형태의 응답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