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한(小寒): 겨울의 끝자락을 알리는 절기



소한(小寒): 겨울의 끝자락을 알리는 절기

1월에 접어들며 음력으로는 아직 2019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겨울의 마지막 절기인 소한은 양력으로 1월 5일 경에 찾아옵니다. 이 절기는 ‘작은 추위’를 뜻하며, 겨울철 가장 추운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한의 의미와 관련된 속담, 그리고 한파 대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소한의 의미와 특징

소한의 정의

소한은 24절기 중에서 23번째에 해당하며, ‘작은 추위’라는 뜻을 지닙니다. 이는 해가 양력으로 바뀐 후 처음 맞는 절기로, 한국에서는 대개 이 시기에 강한 추위가 찾아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새해의 시작과 함께 맞이하는 이 시기를 옛사람들은 ‘정초한파’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소한과 대한의 비교

소한과 대한(大寒)은 각각 ‘작은 추위’와 ‘큰 추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대한이 더 추울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로는 소한 때가 더 추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절기가 중국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세워졌기 때문입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소한과 관련된 속담

소한의 추위

소한 즈음에는 그 해의 최저기온이 기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소한땜’이라고 부르며, 소한에 관련된 재미있는 속담들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1. 소한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 소한 즈음에 날씨가 반드시 추워진다는 의미로,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어떤 이유가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2. 대한이 소한이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소한 무렵의 날씨가 더 춥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3.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다: 소한의 추위가 대한보다 더 심하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소한땜 대비 방법

과거에는 소한부터 입춘 전까지 약 한 달간 혹한에 대비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했습니다. 특히,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땔감과 먹거리를 충분히 비치하여 따뜻한 겨울을 날 준비를 했습니다. 현재에도 소한땜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빙판길 점검: 집 근처에 빙판길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지 점검하세요.
  • 동파 사고 예방: 수도관 동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미리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난방 준비: 난방기구의 점검 및 연료 확보를 통해 따뜻한 겨울을 준비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소한은 언제인가요?

소한은 양력으로 1월 5일 경에 해당하며, 음력으로는 12월에 찾아옵니다.

소한과 대한 중 어느 절기가 더 추운가요?

실제로 한국에서는 소한이 대한보다 더 추운 경우가 많습니다.

소한에 관련된 속담이 있나요?

‘소한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 ‘대한이 소한이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등 여러 속담이 있습니다.

소한땜 대비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빙판길 점검, 동파 사고 예방, 난방 준비 등을 통해 대비할 수 있습니다.

소한의 기온이 가장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소한 즈음에 최저기온이 기록되는 이유는 겨울철 한파가 가장 극심해지기 때문입니다.

이전 글: 쿠쿠밥솥 서비스센터 접수 방법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