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 건설업 정부 노임단가 안내



2024년 상반기 건설업 정부 노임단가 안내

2024년 상반기에 적용될 건설업 정부 노임단가 정보가 공개되었습니다. 이 정보는 건설업체와 근로자 모두에게 중요한 기준이 되며, 특히 현장에서 직접 적용해야 하는 사항이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H2 2024년 상반기 개별직종 노임단가

H3 직종별 노임단가

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각 직종의 노임단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공표일 직종명 2024.1.1 2023.9.1 2023.1.1 2022.9.1
작업반장 208,713 204,626 197,546 191,344
보통인부 165,545 161,858 157,068 153,671
특별인부 214,222 208,527 197,450 192,375
조력공 176,618 171,630 165,635 162,577
비계공 280,472 281,721 278,151 269,039
형틀목공 274,978 274,955 259,126 246,376
철근공 260,137 261,936 252,113 240,080
용접공 267,021 262,551 249,748 238,739
콘크리트공 261,283 255,373 245,223 235,988
잠수부 379,657 362,612 346,760 323,830
도배공 215,675 211,861 205,156 199,187

H3 노임단가의 중요성

노임단가는 건설업체의 인건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각 직종별 노임단가는 건설 공사의 원가 산정과 계약 체결 시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H2 건설업 노임단가 조사 목적 및 기준

H3 조사 목적

이번 조사의 목적은 건설부문에서의 시중임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건설업체는 적정한 인건비를 산정하고, 근로자는 공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H3 조사 기준

조사는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전국의 2,000개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조사 범위는 일반공사,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습니다.

H2 평균 임금 현황

H3 2022년 1월 1일 ~ 2024년 1월 1일 평균임금

아래 표는 2022년과 2024년 사이의 평균임금 현황을 보여줍니다.

구분 2022.1.1 2023.1.1 2024.1.1
전체직종 242,931 255,426 270,789
일반공사 직종 231,044 244,456 258,359
원자력직종 230,632 234,019 230,344

H2 임금 적용 시점

2024년 상반기 임금 적용 시점은 2024년 1월 1일부터 시작됩니다. 이 시점부터 새로운 노임단가가 적용되므로, 건설업체는 이를 반영하여 인건비를 산정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노임단가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대한건설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건설업무’ 섹션에서 ‘건설적산기준’을 선택하면 됩니다.

질문2: 노임단가가 적용되는 직종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주요 직종으로는 작업반장, 보통인부, 특별인부, 비계공, 형틀목공 등이 있으며, 각 직종의 세부 노임단가는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3: 노임단가는 어떻게 조사되나요?

건설업 노임단가는 2,000개 건설현장에서의 조사를 통해 산출되며, 조사 기준 기간은 매년 정해진 시기에 실시됩니다.

질문4: 평균임금 현황은 어떻게 산출되나요?

평균임금 현황은 조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직종별로 계산되며, 연도별 변동을 기록하여 제공합니다.

질문5: 노임단가의 변동은 어떤 요인에 의해 결정되나요?

노임단가는 시장의 경제 상황, 공급과 수요, 법령 및 정책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됩니다.

이 자료는 건설업체와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 글: 부모급여 및 아동수당 차이: 2025년 기준 완벽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