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와 이재명 정부의 ‘청년미래적금’은 청년층의 재정적 안정을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두 상품은 비슷한 취지를 가지고 있지만, 각기 다른 특징과 조건을 가지고 있어 선택에 고민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기본 정보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윤석열 정부에서 출시한 청년 금융 상품으로, 주로 청년층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 계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 납입 한도: 최대 70만원
- 만기: 5년
- 혜택: 정부 지원금 (소득에 따라 월 21,000원~33,000원) 및 이자 비과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월 최대 70만원을 납입하여 정부가 지원금을 추가로 제공하는 구조입니다. 이자 비과세로 인해 실질적으로 연 9%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입 조건 또한 연소득 7500만원 이하로 비교적 넉넉한 편입니다.
단점 및 변경 사항
하지만 만기가 5년으로 긴 점은 단점으로 지적되었습니다. 특히 청년들은 결혼, 주택 구입 등 다양한 이벤트로 인해 중도 해지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중도 해지율이 15%에 달할 정도로 많은 가입자가 해지하였으나, 정부는 제도를 개선하여 3년 이상 유지 시 기여금 60%와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청년미래적금이란?
기본 정보
청년미래적금은 이재명 정부에서 도입할 예정인 청년 금융 상품으로, 2024년 6월에 출시됩니다. 이 상품의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월 납입 한도: 최대 50만원
- 만기: 3년
- 혜택: 납입액의 6% (중소기업 취업 청년은 12%) 및 이자 비과세
청년미래적금은 청년도약계좌에 비해 월 납입 한도와 만기가 줄어들지만, 정부 지원금이 더 높습니다. 예를 들어, 매월 50만원을 납입할 경우 정부가 최대 6만원을 추가로 지원하여 총 2,200만원까지 모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연 16%의 금리에 해당하는 매우 유리한 조건입니다.
가입 조건
가입 조건은 청년도약계좌보다 다소 까다로워졌습니다. 연소득 6천만원 이하(중위소득 200% 이하) 및 종합소득금액 4800만원 이하로 제한됩니다. 그러나 많은 청년들이 이 조건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미래적금 비교
|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 |
|---|---|---|
| 가입기간 | 5년 | 3년 |
| 월 납입한도 | 70만원 | 50만원 |
| 정부지원금 | 최대 6% | 일반형 6% / 우대형 12% |
| 비과세 혜택 | O | O |
| 가입 조건 (소득 기준) | 연 7,500만원 이하 | 연 6,000만원 이하 |
요약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조건이 넉넉한 대신 혜택이 상대적으로 적고, 청년미래적금은 가입 조건이 다소 까다롭지만 혜택이 더 큽니다. 연 소득이 6,000~7,500만원 사이에 있는 분들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며, 오랫동안 많은 금액을 납입하고 싶다면 청년도약계좌가 적합할 것입니다. 반면, 그 외의 경우에는 청년미래적금에 가입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미래적금 중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한가요?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조건이 넉넉하지만 혜택이 적고, 청년미래적금은 조건이 까다롭지만 혜택이 더 큽니다. 본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청년미래적금의 출시 일정은 언제인가요?
청년미래적금은 2024년 6월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 시 어떻게 되나요?
중도 해지 시, 3년 이상 유지하면 기여금 60%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조건은 무엇인가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조건은 연소득 7500만원 이하 및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입니다.
청년미래적금의 정부 지원금은 얼마인가요?
청년미래적금의 정부 지원금은 납입액의 6%이며, 중소기업 취업 청년은 12%의 우대형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전 글: 쿠쿠밥솥 서비스센터 접수 방법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