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기준, 주민세 납부는 세대주와 사업자 모두에게 중요한 사항입니다. 아래를 읽어보시면 각 납부 대상과 기준, 편리한 납부 방법, 그리고 본인의 지역 주민세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주민세란? 납부 대상 및 기준
주민세의 구성
주민세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며 각 납부 대상이 다릅니다:
– 개인분: 매년 7월 1일 기준으로 세대주나 일정 조건을 충족한 외국인이 납부합니다.
– 사업소분: 같은 날짜 기준으로 사업소가 있는 개인사업자와 법인에 해당되며, 과세표준은 연면적, 자본금, 업종에 따라 달라집니다.
– 종업원분: 최근 1년간 월평균 급여 총액이 1억 8,000만 원을 초과하는 사업장에서 납부하며, 급여의 0.5%를 부과합니다.
납부 기준
개인분은 균등세 방식으로 5,000원에서 6,000원 수준이며, 서울에서는 4,800원에 지방교육세가 추가되어 총 6,000원이 됩니다. 사업소분은 개인사업자의 경우 기본세액이 50,000원이지만, 법인사업자는 자본금에 따라 5만 원에서 20만 원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주민세 납부 기간
납부 일정
- 개인분: 매년 8월 16일부터 31일까지.
- 사업소분: 8월 1일부터 31일 사이에 신고 및 납부.
- 종업원분: 매달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
지역별 예외
일부 지역, 예를 들어 서울에서는 개인분 및 사업소분 모두 9월 1일까지 납부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민세 납부 방법
온라인 납부
전국적으로 위택스 웹사이트나 스마트 위택스 앱을 통해 납부할 수 있으며, 서울 시민은 ETAX 또는 STAX 앱도 이용 가능합니다. 간편결제 앱인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으로도 납부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납부
은행 ATM/CD, 은행 창구 및 카드 결제를 통한 납부가 가능하며, 동주민센터나 읍·면사무소를 방문하여 직접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ARS 전화로도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민세 납부 조회 및 지역 확인 방법
조회 방법
위택스에 로그인 후 ‘납부 조회’ 메뉴를 통해 본인의 지역 주민세 고지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 이용자는 ETAX 또는 STAX 앱의 ‘나의 지역 세목’ 메뉴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우편 및 전자 송달 고지서를 통해서도 고지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미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주민세 Q&A
자주 묻는 질문
-
미납 시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가산세가 부과되며, 무신고 시 20%, 과소신고 시 10%의 세금이 추가로 부과됩니다. 또한 지연 납부 시 이자도 발생합니다. -
납부 대상에서 예외가 있을까요?
미성년 세대주, 기초생활수급자, 30세 미만의 단독 미혼 세대주, 외국인 등록 1년 미만, 80세 이상 고령자 등은 면제 가능성이 있습니다.
핵심 체크리스트
- 납부 대상: 개인분(세대주), 사업소분(사업장), 종업원분(급여 기준)
- 납부 기간: 개인분 8/16~8/31, 사업소분 8/1~8/31, 종업원분 매월 다음 달 10일
- 납부 방법: 위택스, ETAX/STAX, 카드/ATM, 읍·면·동, ARS 등
- 납부 조회: 위택스 또는 해당 지자체 플랫폼에서 가능
- 면제 가능 대상: 미성년 세대주, 고령자, 기초생활수급자, 외국인 등록 1년 미만 등
- 가산세 주의: 미납 및 미신고 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